본문 바로가기
사업분야/내진성능평가 및 보강설계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by 플러스구조엔지니어링 2020. 1. 27.

 

 

1. 적용기준

기존건축물의 내진성능은 학교시설 내진설계기준” (2017.12 : 교육부)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 (2019.01 : 교육부)의 선형구조해석평가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한다.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 학교시설 내진설계기준 전부개정안

 

2. 내진성능평가 절차

기존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 절차는 다음과 같다

 

내진성능평가 절차

 

3. 선형해석평가

 

등가가새모델링

 

3.1 선형해석평가의 목적

선형구조해석평가방법은 건축구조기준과 구조설계에서 사용하는 선형해석기반의 설계기준과 해석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존 구조 또는 보강된 구조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하여 사용한다.

(1)학교시설에 대한 신속한 내진성능평가

다수의 학교시설들을 빠른 시간 안에 평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2)비선형해석평가의 비교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비선형해석평가 결과를 검증하는 비교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기존 구조물의 보유내진성능지수의 평가

기존 구조물의 보유내진성능을 건축구조기준에서 정의하는 내진성능목표 대비 지수로서 정의하며, 이 결과는 기존 구조물의 내진성능향상 계획과 예산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4)보강계획과 설계에서 활용

일반공법을 사용하는 다양한 보강설계 방법과 위치, 보강량에 대하여 빠르게 검증하여 최적의 방법을 찾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3.2 조적 허리벽 및 채움벽의 등가 스트럿 특성

 

등가스트럿 모델

 

조적허리벽 및 채움벽의 등가 스트럿 특성

 

조적위치도

 

3.3 시스템보강

 

주요 시스템보강공법의 종류

 

 

철골 끼움가새 보강 모델링

 

 

간접접합을 이용한 철골보강공법의 예

 

간접접합에 따른 연결상세

댓글